‘계간 권창현’ 창간호 발행에 부쳐
이런 제목의 글을 쓰다니 저는 어쩌면 출판사 편집장이 되고 싶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딴 짓(?)을 좀 해봤습니다. ‘Changhyun Kwon Quarterly’ 혹은 ‘계간 권창현’을 발행하기로 하고 창간호를 준비했습니다. 저는 교수입니다. 연구자이자, 교육자이자, 학교 직원이자, 또 어떤 의미에서는 구멍 가게 사장이기도 합니다. 연구자이다 보니 연구 논문을 쓰게 되는데요, 제가 쓰는 논문을 계간지 형식을 빌어서 한 번 모아서 온라인으로 편집해 보기로 했습니다.
윤종신씨의 ‘월간 윤종신’ 프로젝트를 지켜 보면서 느끼는 점이 많았습니다. 가수가 자신의 곡을 정식 앨범으로 발표하기 전에 매월, 월간지 형태로 발행한다는 것 참 매력적입니다. 여러가지 고민 끝에 나온 결정이리라 생각합니다. 그 고민 중 하나는 아마 음악 활동을 꾸준하게 오랫동안 하기 위한 원동력으로 삼고 싶었던 게 아닐까 추측합니다.
저는 2003년에 대학원에 입학해서 지금껏 11년이 지났습니다. 그 동안 논문도 몇 편 출판했는데, 뭔가 좀 더 재미있는 일을 하면서 연구 활동에 활력을 더하고 동기부여에도 도움이 되고자 ‘월간 윤종신’과 비슷한 형태의 것을 만들어 보고 싶었습니다. 이 블로그를 운영하는 것도 그런 욕구에서 비롯 된 점도 있습니다.
지금껏 연구를 하고 논문을 출판하면서 여러가지를 배우고 느꼈습니다. 그 중 하나는 한 분야에서 오래 꾸준히 활동한 사람이 결국 더 잘 하게 되고 더 좋은 결과물을 내 놓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물론 특출난 재능과 엄청난 노력으로 이른 시기에 큰 빛을 보는 사람들도 있지만, 저는 분명 그런 사람은 아닌 듯 합니다.
그 동안 연구를 하면서 조급했던 적이 많았습니다. 다른 이의 좋은 논문을 읽을 때면 같은 수준의 연구 결과를 내 놓지 못하는 제 자신을 보면서 초라함을 느끼기도 하고 스트레스도 많이 받았습니다. 하지만 이제 앞을 바라보니, 30년은 더 연구를 하면서 제 인생을 살아갈 것 같았습니다. 천천히 그리고 꾸준히 오래 가는 길도 좋은 길이 될 수 있을 것 같아, 조금 더 동기 부여를 하고 싶어서 ‘계간 권창현’이라는 것을 만들어 봤습니다.
앞으로 매 계절마다, 일 년에 네 차례, 제가 써서 저널에 투고한 논문이 출판 되기 전에 — working paper라고 하기도 하고 preprint라고 하기도 합니다 — ‘계간 권창현’ 사이트에 올려보려고 합니다. 일 년에 (남들에게 공개하기에 부끄럽지 않은) 논문 네 편을 써야 하는 신나는 이유가 생겼습니다. 어차피 출판이 되면 공개가 되는 것이고, 그리고 제 홈페이지에 이미 working paper는 올리고 있습니다.
기간을 정해 놓고 연구를 하고 논문을 쓴다는 것이 얼마나 말이 안 되는 일인지 잘 알고 있습니다. 연구라는 것이 마음대로 되는 것도 아니고, 좋은 연구는 긴 시간 동안 심사숙고 하고 다듬고 또 다듬어야 결과물이 나오는 것이니까요.
하지만, 정기적으로 뭔가를 발행하면서 제 자신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기회로 삼고 싶은 마음이 있었고, 마침 지금 이 시기가 어쩌다보니 지금까지의 제 연구 인생에서 working paper가 가장 많습니다. 그래서 시작하기에 좋은 시기라 생각 했고, 때 마침 여유시간이 조금 생겼습니다. 물론 모든 working paper가 지금 각기 다른 저널에서 출판을 위한 심사를 받고 있는 중이기 때문에, 어느날 갑자기 제 working paper의 숫자가 확 줄어들 수도 있겠지요. 그 때면 지금 진행 중인 연구가 잘 마무리 되어 새로운 논문을 공개할 수 있길 바랍니다.
정식으로 출판된 것 도 아닌 연구 결과물에, 그것도 전혀 유명하지도 않은 연구자의 논문을 발행하는 ‘계간 권창현’에 관심을 둘 사람은 아마 저 말고는 한 명도 없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 실험적인 프로젝트는 저 자신을 위한 아주 개인적인 프로젝트로 남을 가능성이 많을 것 같습니다.
‘계간 권창현’의 발행이 저 자신에게 조금이나마 더 동기부여가 되고, 제가 좋아하는 일을 오랫동안 꾸준히 할 수 있는데 소소한 재미를 보태줄 수 있다면 만족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제 소망은 부디 이 개인적인 프로젝트가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으면 하는 것입니다. 앞으로 30년 동안 꾸준히 해 보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렇게 블로그에 글을 올리고 떠벌리는 이유도 꾸준히 할 수 있는데 도움이 될까 해서입니다. :)
앞으로 제 롤모델이자 경쟁자는 윤종신씨입니다.
창간호, 2014년 겨울호를 공개합니다.
http://quarterly.chkwon.net/#winter2014
비슷한 형태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계시거나 할 계획이 있으신 분은 공유해주시면 서로 생각을 나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좋은 글 잘 읽고 있습니다 :-) 저도 지금 출판을 준비하고 있지만, 연구자로서 조만간 비슷한 시도를 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김진영 박사님께서 책을 준비 중이셨군요. 저도 언젠가 한 번 시도해 보고 싶은데, 굉장히 인내가 필요한 프로젝트 일 것 같습니다. 출판 준비 잘 하시길 바랍니다!!
재밌는 프로젝트 잘 보고 갑니다. :) 대학원 연구라 하면 다소 딱딱하게 느껴질법도 한데, 이렇게 보니, 굉장히 매력적으로 다가옵니다!
감사합니다! 매력적으로 보인다니, 나름 성공했군요 :) 일단 왠지 재미있어 보이지 않습니까? ㅎㅎ
멋진일입니다~~~. 게으른 사람에게 좀 동기부여도 되네요.^^
감사합니다. 언제까지 계속 할 수 있을지 벌써 걱정이네요 ㅎㅎ
이제 벌써 봄호가 나올때가 되었나요?^^
박사학위를 받고 깊은 수렁에 빠져있었는데,
선생님 프로젝트를 보고
뭔가 해봐야겠다는 마음이 생깁니다.
감사합니다.
정말 멋있으신 분이시네요!. 퀄시험 기간인데 교수님 글들에 빠져 이러고 있네요.
이런 한국인 연구자가 있다는 사실이 너무 자랑스럽습니다.
안녕하세요 :) 현재 미국에서 faculty로 있는 사람입니다. 우연히 이 블로그를 발견했는데, 정말 재밌는 프로젝트인 것 같아서 리플 남기고 갑니다. 연구자로서 저도 시도를 해 보고 싶은 프로젝트네요. 혹시 시작하게 되면 교수님 블로그에 소식 전하겠습니다. 덕분에 오랜만에 힘도 나고 동기 부여도 되네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비슷한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시면 꼭 글 남겨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