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주제에 대해 삼단계로 말해보기

A Manual for Writers of Research Papers, Theses, and Dissertations” 라는 책을 읽다 많은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내용이 있어, 공유하고자 합니다.

모든 연구는 목표가 있습니다. 대체로 어떤 질문에 답을 찾아내는 것이지요. 어떤 유형의 질문들이 있는지, 어떤 연구가 좋은 연구인지, 연구자는 어떤 자세를 가져야 하는가에 대하여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김연아와 트리플 악셀

김연아

피겨 스케이팅을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김연아 선수의 팬들은 피겨 스케이팅에 대한 자료를 많이 보고 듣고 읽고 모을 겁니다. 김연아 선수의 사진도 모으고, 김연아 선수가 출전하는 대회에 대해 알아 보고, 피겨 스케이팅 경기의 규칙도 알아 보고, 김연아 선수와 같은 대회에 출전하는 다른 선수들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질 겁니다. 팬이기 때문에 자신의 관심사와 관련 있는 여러 자료를 접하게 됩니다.

덕후 연구자들은 그저 이런 저런 자료를 접하기 보다는, 어떤 질문에 답을 하기에 필요한 자료들을 선별하여 집중적으로 모을 겁니다. 예를 들어, “김연아 선수는 왜 트리플 악셀을 뛰지 않는가?” 라는 질문에 답을 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점프 기술의 성공률이라던가, 점수 배점이라던가, 기술의 난이도라던가, 체력 소모라던가 하는 여러 자료들을 모을 겁니다. 그리곤 분석을 하고 답을 하겠지요. 여러 자료들을 바탕으로 도출해낸 답이 얼마나 정확하고 좋은 답인지 주장을 할 겁니다.

좋은 연구자는 질문에 대한 답이 얼마나 좋은 답인지 주장 하는데 그치지 않습니다. 왜 그 질문이 좋은 질문이고, 대답할 가치가 있는 질문인지에 대해 이야기 할 겁니다. 그 질문에 대답을 하면, 다른 더 큰 주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인지, 다른 더 큰 질문에 답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될 것인지를 이야기 할 겁니다. 앞서 언급한 김연아 선수가 왜 트리플 악셀을 뛰지 않는가에 대한 답을 찾아낸다면, 아마 다른 여자 피겨 스케이팅 선수들에게 가장 적합한 기술 구성 요소들의 조합을 찾아내는데 도움이 될 지 모릅니다.

삼단계로 말하기

모든 연구자는 이렇게 삼단계로 자신의 연구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당신은 무엇에 대해 공부하고 있나요?)
1. 저는 X라는 주제에 대해 공부하고 있습니다. (예: 저는 피겨 스케이팅의 점프 기술의 배점에 대해 공부하고 있습니다.)

(왜 그 주제를 공부하고 있지요? 혹은 Why?)
2. 왜냐하면, 저는 Y라는 질문에 답을 하고 싶거든요. (예: 저는 왜 김연아 선수가 트리플 악셀을 뛰지 않는지 알고 싶거든요.)

(그 질문이 왜 중요하죠? 혹은 So what?)
3. 그러면, 제가 다른 사람들이 Z를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거든요. (예: 제가 다른 여자 피겨 스케이팅 선수들이 가장 적합한 기술 구성 요소 조합을 찾아내는데 도움이 될지도 모르지요.)

제가 예제를 재미있게 만들어 본답시고, 원래의 의미를 많이 망친 것 같습니다. 본래 책에 나오는 예를 알려 드립니다.

1. I am working on the topic of X
2. because I want to find out Y
3. so that I can help others understand Z

1. I am working on the topic of stories about the Battle of the Alamo,
2. because I want to find out why its story became a national legend,
3. so that I can help others understand how such regional myths have shaped our national character.

세 종류의 연구

연구에는 세 종류가 있습니다. 개념적인 연구, 실용적인 연구, 그리고 응용 연구. 영어로 각각 Conceptual, Practical, 그리고 Applied 입니다.

개념적인 연구

개념적인 연구에서는 사람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질문을 하고 연구를 합니다.

(당신은 무엇에 대해 공부하고 있나요?)
1. 저는 X라는 주제에 대해 공부하고 있습니다.

(왜 그 주제를 공부하고 있지요?)
2. 왜냐하면, 저는 왜 Y인지 알고 싶거든요.

(그걸 알면 뭐가 어쨌다는 거죠?)
3. 그러면, 제가 다른 사람들이 왜 Z인지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거든요.

1. I am working on the topic of X,
2. because I want to find out how/why/whether Y, [so what if you do?]
3. so that I can help others understand how/why/whether Z.

이런 연구는 보통 순수학문이라고 불립니다. 그저 사람들의 이해도를 높일 뿐, 뭘 어떻게 해야한다는 둥 실제로 어떤 행동지침 따위를 주는 데 도움이 되진 않기 때문이지요. 이런 순수학문의 경우에, 세번째 질문에 좋은 대답을 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연구를 시작 할 때는 그 연구가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지 불명확한 경우가 아주 많고, 심지어 연구를 끝마친 뒤에도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 알기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연구자가 결국에는 세번째 질문에 답을 해야 합니다. 좋은 대답을 내놓지 못하면, 본인만을 위한, 다른 사람은 아무도 신경쓰지 않는 연구가 될 수 있습니다.

실용적인 연구

실용적인 연구는 주로 학계 밖에서 회사를 운영하거나 사업을 할 때 더욱 필요한 연구 형태입니다. 종종 경영학이나 공학에서 이런 형태의 연구를 하기도 합니다.

(당신은 무엇에 대해 공부하고 있나요?)
1. 저는 X라는 주제에 대해 공부하고 있습니다.

(왜 그 주제를 공부하고 있지요?)
2. 왜냐하면, 저는 Y가 어떤건지 알고 싶거든요.

(그걸 알면 뭐가 어쨌다는 거죠?)
3. 그러면, 제가 다른 사람들에게 Z를 고치거나 더 낫게 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려줄 수 있거든요.

1. I am working on the topic of X,
2. because I want to find out Y, [So what if you do?]
3. so that I can tell readers what to do to fix/improve Z.

응용 연구

경영학이나 공학에서는 실용적인 연구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개념적인 연구와 실용적인 연구 그 중간 어디쯤에 있는 형태의 연구를 합니다. 응용 연구와 실용적인 연구의 차이점은 이렇습니다. 실용적인 연구는 실질적인 행동 지침을 줍니다. 하지만, 응용 연구의 경우에는, 그러한 행동 지침을 향해서 계속 다가갈 뿐입니다.

(당신은 무엇에 대해 공부하고 있나요?)
1. 저는 X라는 주제에 대해 공부하고 있습니다.

(왜 그 주제를 공부하고 있지요?)
2. 왜냐하면, 저는 왜 Y인지 알고 싶거든요.

(그걸 알면 뭐가 어쨌다는 거죠?)
3. 그러면, 우리는 Z1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걸 알면 뭐가 어쨌다는 거죠?)
4. 그러면, 우리는 Z2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걸 알면 뭐가 어쨌다는 거죠?)
5. 그러면, 우리는 Z3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걸 알면 뭐가 어쨌다는 거죠?)
6. 그러면, 우리는 Z4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걸 알면 뭐가 어쨌다는 거죠?)
7. 그러면, 아마도 정부가 Z5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지도 모르죠.

I want to find out how ….. [So what if you do?]
Then we can understand …. [So what if you do?]
Then we can understand …. [So what if you do?]
Then we can understand …. [So what if you do?]
Then perhaps the government can use … to ….

맺음말

제 학생들과 연구 주제를 정할 때, 위의 방식으로 정리해보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만, 항상 좋은 대답을 내놓을 수 있는 건 아니더군요. 특히나 석사 학생들과 함께 일 할 때 더 큰 어려움을 느낍니다. 박사과정 학생과 비교해서, 학생의 지식은 더 부족하고, 주어진 시간도 부족하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결국엔 제가 갖고 있던 연구 주제 중 하나를 줄 수 밖에 없더군요. 석사 학생과 함께 좋은 논문도 많이 쓰고 싶은데, 쉽지 않습니다. 항상 아쉽네요. 박사과정 학생의 경우에는 첫번째 연구를 제가 이끌어 주면 그 뒤로는 학생이 경험이 생겨서 혼자서도 잘 하기도 합니다.

위의 방식은 연구비 수주를 위해서 제안서를 작성할 때도 유용했습니다. 제 연구를 위의 방식으로 세단계로 설명하면 모두에게 명확한 설명이 되기 때문에 제안서를 심사하는 분들께도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물론, 세단계의 질문에 명확한 답을 찾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닙니다. 오랜 기간 생각이 쌓여야 하더군요.

위의 내용이 실린 책의 제목은 A Manual for Writers of Research Papers, Theses, and Dissertations: Chicago Style for Students and Researchers 입니다. 원래는 시카고 대학교에서 학생들의 학위 논문을 편집하고 교정보는 일을 도와주던 Kate Turabin이라는 사람이 참고 문헌 인용은 어떻게 해야 하며, 문장 부호는 어떻게 써야 하며, 이런 것들을 정리해서 출판한 책입니다. 소위 말하는 ‘시카고 스타일’이라는 것을 만들어 낸 분입니다.

A Manual for Writers

이 책이 7판이 넘어가면서, 시카고 대학교 출판부의 다른 분들이 새로운 내용을 덧붙입니다. Part I. Research and Writing: From Planning to Production 입니다. 이 부분은 The Craft of Research 라는 책을 축약하여 정리한 부분인 듯 보입니다. 좋은 연구 문제를 찾고 연구를 진행하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이 많이 있으니, 많은 분들께 권합니다.

The Craft of Research

영어로 쓰여진 글을 제 마음대로 자르고 붙이고 번역하다 보니 글이 매끄럽게 읽히지 않네요. 번역 일 하시는 분들께 존경의 말씀을 드립니다.

You may also like...

11 Responses

  1. 유학생 says:

    교수님, 눈팅만 하다가 처음 댓글 달아봅니다 (트위터도 팔로잉 중이고 심지어 블로그 이메일 구독도 하고 있습니다, 이 링크도 오랜만에 이메일 훑어보다가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필라델피아에서 박사과정 3년차 이제 접어드는 학생입니다. 지난 학기 코스웤에서 이 책을 함께 했는데 수업 내 과제로 간단히 써보는 연습을 했던 예시가 나와서 반가운 맘에 댓글 달게 되네요. 지금 일하고 있는 논문 주제에 대해 예시 된 것 처럼 똑같은 주제로 3개 문장 set 을 5번 paraphrase 해보았는데, 간단할 거라고 생각했던 게 생각을 많이 하게 되고 돌이켜보게 되는 효과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어쩌면 논문 작성도 이와 같은 간단한 연습에서 비롯되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 권창현 says:

      반갑습니다. 학위 과정 중에 저도 이 책으로 공부 할 수 있었으면 좋았을 텐데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박사과정 3년차면 이제 많은 일들이 일어나겠네요. 즐거운 박사과정 되시길 바랍니다.

  2. 신입생 says:

    교수님, 저는 박사 첫학기를 맞고 있는 학생입니다. :) 재미도 있고 유익한 글에 감사 인사 드립니다. :) 첫학기에 교수님의 글을 접하게 되어 엄청 다행이라고 생각하는 중인데,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어서요.
    기존에 출판된 책이나 논문과 관련하여 critical 하게 자료를 읽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글을 읽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저는 주로 일단은 수용하며 읽는 편인데, 여기엔 아직 지식이 많지 않은 것도 한몫합니다. ^^: 그래서 개인적으로 비판적 글읽기에 매우 어려움을 느끼고 있어 교수님께서 가르쳐주시는 방법이 따로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항상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3. mary says:

    한국에서 석사를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석박 통합과정으로 전환을 고민하던 중, 교수님 글을 보게 되었습니다.

    좋은 글들이 많아 정말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4. 릴레이 says:

    본문과는 약간 다른 이야기 일지도 모르겠지만,
    연구의 목적은 여러 방면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자신이 연구하는 이유, (프로포절을 할때)상대가 나에게 연구지원을 해줘야 되는 이유
    (여러 방면이라 해놓고 2가지만 적었네요. 당장 생각나는것은 이 2개가 전부라..)

    자신이 연구를 하는 이유는 단순히 궁금하거나 즐겁거나와 같은 이유일 수 있습니다.
    물론.. 즐겁거나 궁금해하는 이유가 더 있을 수도 있지만, 당사자는 즐겁거나 궁금해하는 결과 하나만으로도 연구할 이유가 있다고 볼 수 있다는거죠.
    마음속에 있는 확신할 수 있는 이유는 단순히 그것 뿐인데 거기에 억지로 살을 붙이고 이유를 만드는 것은 거짓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제안서와 같이 타인을 설득해야 할때엔 이야기가 틀려집니다. “네가 재밌고 네가 궁금해하는데 왜 내가 돈을 줘야해?” 라는 생각이 들겠죠. 물론, 그 사람 역시 궁금하면 그 이유가 충분하겠지만.. 그런 경우는 극히 드물거라 생각합니다.
    이 경우, 상대에게 이득이 되는 이유를 설명해줘야겠죠. 상대가 국가라면 국가에게 이득이 되는 이유를 설명해줘야 겠고요.

    자신의 연구주제에 대해 왜 하는지 깊이 있게 고민하는 것은 좋다 생각하지만, 어느 정도 까지 반드시 답을 내야 할 문제인가? 라는 의문이 있습니다
    이상입니다.

  5. 땡큐 says:

    이제 이번학기 박사과정 준비 중입니다~!
    개념 잡는데 큰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교수님께 무한감사의 댓글을 드립니다.. ^^

  6. 유학생2 says:

    매번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한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서 글을 남깁니다.
    연구의 종류가 세 종류가 있다고 하셨는데 그 분류법은 제가 생각해왔던 그것과는 조금 다른듯 합니다.
    특히, 응용연구를 설명하시는 부분은 상당히 Objectivism의 입장과 유사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Universal law or covering law를 연구하는 것 이외에, 다른 연구의도와 접근법으로 연구하는 분들도 계시다는 점을 글에서 상기시켜주셨으면 합니다.
    교수님께서 Industrial engineering 혹은 management science 분야를 연구하시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Applied research라는 것은 다른 인문 사회과학 분야에서도 쓰여지는 개념이고 universal law가 아닌 다른 의도와 접근방법으로 연구하는 학문이 많으므로 교수님의 글을 읽는 다른 분들이 교수님의 글로부터 더 큰 생각을 갖을 수 있게끔하는 글이 더 바람직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 권창현 says:

      글 남겨 주셔서 감사합니다. 세 종류로 분류하는 방법은 제가 말한 것이 아니라 글 첫머리에 언급한 책에 나온 부분입니다. 제 의견이 아니라는 점 우선 상기시키고 싶습니다.

      세 종류 이외의 다른 종류의 연구도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다만, 원래 책에서 연구를 세 종류로 분류를 한 것인지, 아니면 ‘삼단계로 말하기’ 방법을 세 가지 타입의 연구를 예를 들어 설명했던 것인지 잘 기억이 나지 않네요. ‘유학생2’님께서 말씀 하신 ‘다른 의도와 접근방법으로 연구하는 학문’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말씀해 주실 수 있겠습니까?

      • 유학생2 says:

        우선 댓글 감사드린다는 말씀 드립니다.
        제가 인문 사회과학이라는 큰 틀에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는 부분은 크게 두가지 입니다: Explanatory and Predictive. 이부분은 저의 의견이 아니라 어떤 논문에서 본 것인데 그 출처는 지금 잘 기억이 나질 않습니다.
        Predictive 의 측면에서 충실히 우리 사회에 큰 기여를 하고 있는 분야가 universal law를 찾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 교수님께서 하시는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왜 predictive 라는 목적이 우리 인문사회과학의 연구의 목적중 하나의 큰 카테고리가 되었는지는 저 스스로도 아직 명쾌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16-17세기 자연과학이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고 그 자연과학의 연구 방법론을 그대로 사회과학 (특히 사회학)에 적용하고자 했던 움직임은 콩트로 부터 시작되었다는 정도만 이해하고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인간은 생래적으로 늘 불안감을 느끼며 미래의 확실성은 갖고자 하며 이것은 살고자 하는 본능에 기인한 것이라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근대 철학 이전의 시대에는 신학의 틀안에서 이런 불안 심리를 해소하고자 했던 혹은 그렇게 강요되었던 것이 자연과학의 발전과 더불어 그 발전을 사회과학에서도 실현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현재에도 이르고 있는것이 아닌가 생각하고 있습니다 (저의 이런 의견은 콩트가 당시 실증주의를 사회학에 도입하고자 했던 의도와는 다른 걸로 알고 있습니다). 교수님께 이런 비학문적인 글로 답글 드리는게 조금은 죄송스럽네요. 사족이 너무 길었네요.
        어떤 discipline 이라도 접근하는 방식은 각각 존재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제가 질문드린 부분을 수정해야 할 듯 합니다. 제가 말씀드린 ‘다른 의도와 접근 방법으로 연구하는’ 이라는 의미는 어떠한 학문도 해당될 수 있습니다. 한 학문안에서도 explanatory 를 추구하는 연구가 있을 것이고 predictive 역시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Explanatory를 추구하는 접근에서도 cause and effect라는 틀에서 연구하는 분들도 계시지만 그것이 바로 predictive라는 목적과는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시점에서 과거를 이해하는 목적으로 접근한다는 것이 predictive와는 다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그 학문의 주요 흐름이 자연과학의 틀과 어느정도 궤를 같이 하는지에 따라 그 비율은 조금씩 달라질거라고 생각이 듭니다.
        두서없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유학생2 says:

          제 글은 사회과학이라는 큰 틀에서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인문(과)학 이라는 틀은 제 글에 적절치 않다고 생각이 듭니다. 이런 보충없이 저의 의견을 전달해 드려야 했는데, 제 글에 오류가 많네요. :)

      • 우연히 says:

        인터넷 검색을 하다가 우연히 들어와 봤습니다.
        교수님께서 이곳에 좋은 글들을 많이 써주셨던데요.

        제 생각은 케쥬얼한 글이든 아카데믹한 글이든, 모든 글에 쓰이는 레퍼런스는 저자의 주장에 힘을 실어주고 그 주장의 정당성을 더욱 부여하기 위한 아주 일반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하는데요.

        저자의 주장에 힘을 실어주는 방법은 몇가지가 있겠지만, 일차적으로 단지 본인의 주장과 같은 의견을 가진 다른 저자의 주장을 끌어와 쓰는 경우 그리고 본인의 의견에 objection하는 글들을 defend하기 위하여 다른 저자의 글을 끌어와 쓰는 경우도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레퍼런스를 읽고 그 레퍼런스 저자의 주장과 의도를 충분히 이해한 뒤에야 본인의 글에 레퍼런스로 사용할 수 있다는건 너무나 상식에 가까운 이야기로 제가 더 언급드리지 않아도 교수님께서 충분히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교수님께서는 “세 종류로 분류하는 방법은 제가 말한 것이 아니라… 제 의견이 아니라는 점 우선 상기시키고 싶습니다.”

        그렇다면 교수님께서는 본인의 의견이 아닌 그 책을 어떤 의도로 본인의 글에 레퍼런스로 사용을 하셨으며 교수님께서 작성하신 이 글과 그 책의 상관성은 무엇인지가 궁금하네요.

        ‘유학생2’ 님이 글을 아주 길게 남겨주셨는데 간략하게 읽어보니 자연과학을 하는 연구하시는 분들과 사회과학이나 인문과학을 연구하시는 분들의 세상을 바라보는 기본적인 접근 방법에 대해 글을 쓰신듯 합니다만 ‘유학생2’ 님의 글도 찬찬히 다시 읽어보겠습니다.

Leave a Reply to 릴레이 Cancel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d bloggers like this: